안녕하세요!
지난 번 아래 포스팅에서 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기준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 포스팅을 보다보면 익숙하지 않은 단어가 있는데요, 바로 "직선보간 산출" 입니다.
혹시 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기준을 아직 못보셨다면 아래 포스팅 참고하세요!
1기 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기준 발표!
안녕하세요!얼마 전 5월 22일에 국토교통부에서 1기 신도시 선도지구 규모 및 선정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1기 신도시인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에 거주하시는 분들 및 투자로 눈여겨본 분
dooong.tistory.com
1기신도시 선도지구 선정 시 구간별 가점들을 합산하여 순서를 매기는데, 이때 사잇값으로 "직선보간 산출" 방식을 사용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직선보간 산출방식을 들어보신 분들도 있겠지만 저처럼 기억이 나지 않는 분들을 위해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직선보간 산출이란?
두 개의 데이터 사이의 값을 직선 형태로 추정하는 방법
직선보간은 두 개의 데이터 사이의 값을 직선 형태로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수학적으로, 이는 두 점 (x0,y0)와 사이의 어느 한 점 (x, y)의 값을 추정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수학공식을 통해 y 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수식으로 보면 멀미가 나는 저같은 분들을 위해 국토부에서 제시한 주민동의율을 직선보간 산출법을 사용하여 각 구간별 점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1기신도시 선도지구 주민동의율 점수 계산
확실한 내용은 6월 25일 각 지자체 발표 결과를 봐야겠지만, 위 내용만 가지고 먼저 계산해보겠습니다!
A단지의 동의율이 70% 이고, B단지의 동의율이 80% 일 때 점수를 계산해보겠습니다.
동의율 최소값 50%를 10점, 최대값 95% 이상을 60점으로 가정하고 (50%, 10점) 과 (95%, 60점) 직선 구간을 나눠서 점수를 내야합니다.
이 값을 기준으로 계산한다면 위처럼 동의율 50% ~ 95% 구간에 대한 점수가 계산됩니다!
이 경우 A단지는 70% 동의율로 32.2점, B단지의 80% 동의율로 43.3점이고, 두 단지의 점수 차이는 11.1점입니다.
하지만 주민 동의율의 최소/최대값을 공모 신청 구역들의 최소/최대값으로 대체할 경우 계산이 달라지게 됩니다.
동의율 최소/최대값은 실제 동의율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임의로 최소 동의율 (65%, 10점), 최대 동의율 (87%, 60점) 으로 가정하고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이 경우 A단지 동의율 70%(21.4점)와 B단지 동의율 80%(44.1점)의 차이는 22.7점으로 최소/최대값을 50%, 95%로 계산했을때보다 2배 이상 차이나게 됩니다.
6월 25일에 각 지자체에서 이 기준을 국토교통부의 기준을 따를지 아니면 각 지자체별 기준을 적용할지 지켜봐야겠지만,각 단지별 동의율 최소/최대값을 기준으로 정하게 된다면 동의율로 인한 차이가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만큼 선도지구를 준비하는 모든 단지들은 동의율 확보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선도지구 주차대수, 정비사업 추진의 파급효과 점수 계산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직선보간 방식을 이용하면 세대당 주차대수별 점수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최소값(1.2대, 2점) 과 최대값(0.3대, 10점) 사잇값을 직선보간 방식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확실히 주민동의율보다는 점수편차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일하게 직선보간 방식으로 정비사업 추진의 파급효과 점수를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참여 주택단지 수에 따른 점수입니다.
다음으로는 통합정비 참여 세대 수에 대한 점수입니다.
결론
이처럼 직선보간 방식을 이용하면 주민동의율, 세대당 주차대수 별 점수 계산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이는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기준과 임의의 최소/최대값으로 계산한 결과이기 때문에 실제 점수 확인은 6월 25일 지자체(분당의 경우 성남시) 발표가 있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추후 지자체에서 상세 기준을 발표하면 기준에 맞게 추가로 점수 계산하여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직선보간 방식을 이용한 선도지구 점수 계산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성평가와 정량평가의 차이점은 뭘까?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있습니다.특히 평가 방법은 데이터 분석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를 잘 활용하면 우리는 더욱 효
dooong.tistory.com
'Investment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에는 어떤 소득들이 포함될까? (0) | 2024.05.28 |
---|---|
정성평가와 정량평가의 차이점은 뭘까? (0) | 2024.05.24 |
노후계획도시 정비 특별법으로 살펴본 법의 위계 정리! (헌법, 법률, 명령, 조례, 규칙) (2) | 2024.04.13 |
채권(bond) 이란? (0) | 2019.04.07 |
미국 금리와 우리나라 경제의 관계 (0) | 2019.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