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인테리어
아파트 인테리어 하면 어떤 것들이 생각나시나요?
한강뷰 인테리어? 리모델링?
다양한 의견들이 있겠지만 막상 인테리어를 진행하려고 하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저 역시도 최근 인테리어를 준비하기 전까지 막연하게 유튜브로 인테리어쇼, 아울디자인 등을 보면서 관심만 있었지
실제로 해볼 엄두도 못내고 있었거든요.
인테리어가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내 명의의 집이 있어야 한다는 점 입니다.
물론 전세나 월세로 들어가면서 인테리어를 하셔도 되지만, 대부분의 임대차 계약서에는 "만기 시 원상복구" 라는 문구가 포함되어있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집을 사면 인테리어는 자연스럽게 고민하게된다
하지만 내 명의의 집을 구매하게 된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내가 살 집을 조금이라도 예쁘게 꾸미고 싶어 이리저리 고민하고, 소품으로 꾸밀까 하다가도 뭔가 아쉬워서 인테리어에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왜냐면 제가 딱 이 케이스거든요 ㅎㅎ
올해 초에 아파트를 매수하게 됐고, 수리한지 20년이 넘어 올수리가 필요했습니다.
인테리어 공사에 대한 포스팅만 해도 한 가득 나올 것 같으니 오늘은 인테리어 공사 전 계약 단계까지에 대해 간단히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인테리어 공사 전 진행 순서
원하는 시안 작성 → 인테리어 업체 탐색 → 견적 요청 → 견적 상담 → 견적 비교 → 계약
인테리어 공사 계약까지만 해도 위처럼 많은 단계들이 있습니다.
물론 돈이 많아 인테리어에 n억씩 투자할 수 있는 여력이 된다면 선택이 쉬워지지만
동일 금액으로 더 퀄리티 좋은 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과정이 위 6개 과정입니다.
시안 작성
인테리어에서 견적을 가장 잘 받는 방법은 내가 원하는 디자인을 명확하게 알고 가야 한다는 점입니다!
조명 구성, 천장, 바닥, 타일 등을 어떻게 구성할건지와 집 구조를 변경할지 등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
따라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다 라고 하신다면 검색창에 "구매하신 아파트 + 평형 인테리어" 으로 검색해보시면 많은 인테리어 후기들을 볼 수 있는데, 같은 아파트의 인테리어는 어떤식으로 되어있는지를 구경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아래는 잠실엘스 아파트의 25평형 인테리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잠실엘스 25평 인테리어" 로 검색해본 결과입니다.
내가 산 아파트와 평면도가 동일한 집의 인테리어를 볼 수 있어 우리 집에서 할 수 있는 인테리어와 할 수 없는 인테리어 구분이 확실합니다.
결과를 보고 이런 인테리어를 하고싶다 라고 생각이 드는 사이트의 링크 주소만 가지고 가서 보여주셔도 되고, 각 공간(거실, 주방, 안방, 서재 등...)별로 원하는 스타일을 각각 PPT로 작성하셔서 상담을 받으셔도 됩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시지 마시고, 템플릿 생각 없이 알아보기 쉽게만 작성하셔서 가져가셔도 됩니다.
정 어려우면 링크만 저장해가서 보여드리기!
저는 견적 받기 전까지 욕심이 많았어서 이것저것 다 하나하나 컨트롤 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공간별로 원하는 디자인들을 다 작성했고, 잘은 모르지만 일단 최대한 세세하게 적어서 안되는건 상담받을 때 안된다고 말씀해주시기 편하게 모두 다 작성해갔습니다.
인테리어 업체 탐색
인테리어는 동네 인테리어 업체에서 진행할지, 한샘, 리바트 등의 메이커에서 진행할지, 아니면 유튜브로 유명한 디자인 업체에서 진행할지 결정이 필요합니다.
업체별 장단점
업체 | 장점 | 단점 |
동네 인테리어 업체 | - 집 근처라 유지보수 용이 - 상담 및 견적이 쉬움 -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업체별 상이) |
- 마감 퀄리티(작업자 숙련도에 따라 천차만별) - 새로운 도전보다는 익숙한 작업방식 선호 |
대기업 (한샘, 리바트 등...) |
- 대부분이 규격화 되어있어 상담 용이 - 가격의 투명성, 카드결제 가능 |
- 규격화 되어있어 새로운 도전을 하기는 어려움 - 비교적 높은 가격대 |
디자인업체 (인테리어쇼, 아울디자인 등...) |
- 누가봐도 예쁘다고 할 인테리어 - 마감 퀄리티(작업자별 상이) - 꼼꼼한 관리 |
- 매우 높은 가격대 - 인기가 많아 일정 잡기 어려움 |
세세하게 들어가면 더 많은 장단점이 있지만, 크게 보면 위와 같습니다.
저희는 각 업체별로 한 곳씩 견적을 넣어보고, 동네 인테리어 업체는 3곳에 견적을 넣어봤습니다.
견적을 넣으실 때는 위에서 공유드린 "구매한 아파트 + 평형 인테리어" 로 검색해서 나오는 시공 업체 중 마음에 드는 디자인을 시공한 업체에 의뢰하시는게 가장 확실합니다!
그 업체는 내가 원하는 디자인을 시공해본 경험이 있어 실수할 확률이 줄어들고,
비슷한 디자인으로 시공할 경우 디자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업체에서도 선호하는 편입니다.
이렇게 결정된 업체들에게 이메일로 견적을 요청해 봅니다.
견적 의뢰, 견적 상담
견적은 전화로 문의 후 이메일 접수, 혹은 방문 상담 등이 있는데 대부분 이메일로 접수가 가능합니다.
견적문의 창에서 어떤 공사들을 할거고 예산은 얼마인지, 공사 기간은 언제인지를 작성해서 메일을 보내면
짧게는 2~3일에서 길게는 3주정도 후에 회신이 옵니다.
의뢰한 업체들에서 견적서가 오면 견적서는 세세하게 작성되어 있는지, 내가 요청한 항목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각 공정별로 정확한 제품과 정확한 가격이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위 견적서처럼 상품과 가격이 개별로 명시되어 오는 경우는 나름 잘 작성된 견적서이며
욕실공사 330만원 으로 퉁 쳐서 견적서가 온다면 이런 업체는 거르는걸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문제가 생겨도 견적서에 안나와있다고 우길 수 있거든요.
이렇게 받은 견적서들을 보고 실제 상담해보고 싶은 업체에는 전화를 해서 견적 받은 내용을 상담받고 싶다고 하면
견적서 설명과 함께 상담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때 잘 모르는 용어들은 물어보시면서 정확히 어떤 공사인지, 설명은 잘 해주시는지에 대해 확인하시고 상담을 받으시면 됩니다.
예산이 초과라면 상담 과정에서 제품의 급을 내리거나 불필요한 작업을 제외하여 예산을 줄일 수도 있고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디자인을 제시해주셔서 더 좋은 방안을 찾을 수도 있으니 반드시 상담은 여러 곳에 해보길 추천드려요!
※ 상담 시 계약금, 중도금, 잔금 비율을 반드시 물어보세요!
업체의 현금 흐름이 좋으면 계약금 10%, 잔금 90% or 계약금 10%, 중도금 10%, 잔금 80% 등으로 공사를 마친 뒤 대부분 대금을 지불하는 형식으로 말씀해주시겠지만,
현금 흐름이 좋지 않는 경우 받은 돈으로 다른 고객님의 공사 대금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계약금 20%, 중도금 70%, 잔금 10% 등으로 말씀해주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업체마다 상황이 다 다르겠지만, 이왕이면 대부분의 금액을 잔금으로 견적 주시는 업체를 좀 더 신뢰하게 되더라구요!
견적 비교 및 계약
상담을 가서 바로 계약 여부를 결정하셔도 좋고, 여러 곳의 견적을 보시고 최종 선택을 하셔도 됩니다.
저희도 총 4군데에서 상담을 받았고 이 중 고민되는 두 곳의 상세 견적을 비교해봤습니다.
이 과정이 매우 까다로운게 견적서에 포함된 제품들이 모두 다르고,
견적서 양식도 다르며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는 항목들도 모두 달라서 하나로 정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무조건 100% 다 맞추겠다 할 필요 없이 그냥 쉽게 비교할 수 있을정도로만 정리한다고 생각하시고 하셔도 되는데요,
굳이 이런거 필요 없이 그냥 마음 잘 맞는 대표님과 진행하겠다 하고 업체를 선정하셔도 됩니다.
이 과정은 선택이고, 억지로 하려면 매우 큰 고통이 수반되기 때문에 원하는 분들만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최종 선택된 업체에 연락하셔서 계약서 작성 하시고 공사 일정을 잡아 공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인테리어 공사는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 벌써 진이 빠진다면 정상입니다.
이 과정이 인테리어의 50% 이상 차지할 정도로 정말 큰 에너지를 쏟아야 하고, 이후 인테리어 공사가 시작되면 생각보다 신경쓸 일이 많지 않습니다!
너무 상세하게 적으면 포스팅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대략적으로 공사 진행 전 과정에 대해 작성해봤습니다.
다음 인테리어 포스팅에서는 인테리어 공정별 진행 및 체크리스트 등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Investment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과 재개발, 리모델링 무슨 차이일까? (0) | 2024.05.09 |
---|---|
아파트 매도 시 양도세는 얼마나 내야할까? (2) | 2024.04.27 |
위례신도시 시세 트래킹, 가격 복기(feat. 그때 살 걸) (0) | 2023.05.16 |
분당 인테리어 타일 업체 미팅 후기 (5) | 2023.05.12 |
위례신도시 위례신사선 개통은 언제? (0) | 2023.01.31 |